의종금감
-
풀바람님의 와송(瓦松)관련 문의에 대한 답변访名录答辩 2016. 9. 21. 20:58
와송(瓦松)의 중국어명칭과 중화인민공화국약전2010년판《中华人民共和国药典》2010年版의 와송(瓦松)관련 설명. 瓦松1 拼音:wǎ sōng 2 英文参考 fimbriata, fimbriatus Umbilicus fimbriate orostachys herb Fimbriate Orostachys Herb 3 概述 瓦松为中药名,出自《新修本草》。《中华人民共和国药典》(2010年版)记载有此中药的药典标准。 4 别名 瓦花、瓦塔、向天草、昨叶何草。 瓦花、向天草、酸塔。 5 来源 景天科植物瓦松Orostachys fimbriatus(Turcz.) Berg.的全草。我国(中国)各地均有分布。 6 植物形态 多年生肉质草本,高15~35cm,全株粉白色,密生紫红色斑点。不结实茎矮小,倾斜。基生叶莲座状。阔线形至倒披针形,先端具1半圆形软骨质的附属物,其..
-
얼마나 많은 한의학도들이 실제로 동의보감 원문을 읽고 이해하려고 노력할까?短想 2013. 11. 22. 23:29
우연히 어떤 한의대생들이 쓴 글(어떤 내용인지는 언급하지 않겠다.)을 읽다가, '내가 한의학을 공부하기 위해서 중국행을 결정했고, 중의학을 공부한 것은 정말 잘한 선택이었다!'는 생각을 했다. 중국과 한국의 여러가지 정책적인 이유들로 현재로선 중의사로도 한의사로도 활동할 수 없지만, 안할 공부였다면 모를까, 결국 할 공부였다면, 중국에서 중의학을 공부한 것은 잘한 선택. 이제 중국에서의 생활이 만 7년이 다되어가고, 학업도 마쳐서 받을 학위 다 받았지만, 아직도 실력이 일천하여, 계속 중의학을 공부하고 있다. 공부법? 혹은 공부내용이 달라졌다면, 중의대에서 사용하는 교재를 위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고서( 현재로선, 의종금감에 심취해 있다. 의종금감을 읽다보면 곳곳에서 눈이 확~ 떠지는 경험들을 한다. ..
-
의종금감(醫宗金鑑) 정리중.生活 2013. 10. 9. 02:12
몇년 전부터 의종금감(醫宗金鑑)에 관심을 가졌는데, 딱히 읽어볼 시간을 내지 못하고 있다가, 요즘 틈틈히 읽는중이다. 의종금감(醫宗金鑑)의 내용자체가 중의 전과(全科)의 임상을 망라했다고 할 수 있는데다, 아직 서의(西医)의 간섭을 받지않았던 청나라 초기에 만들어진 덕분에 순수한 중의(中医)적인 관점으로 책에 집중할 수 있어서 맘에 든다. 쬐금 아쉽다면, 중약학(中药学)에 해당되는 부분이 딱히 없다는 건데, 그정도야 다른 중약학관련 책들로 얼마든지 커버할 수 있는 내용이라. ( 어떤 사람들의 관점에선, 황제내경 소문과 영추, 중의기초이론, 진단, 등의 내용도 없다고 하는데, 중의학 교과서처럼 내용이 집중되어 편집된 것은 아니지만, 있어야하는 것들은 다 있다고 생각한다. 소문과 영추의 내용들이 직접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