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
중의학이 동유럽에서 입지를 굳힐 수 있는 터전이 마련되었다고나 할까.短想 2015. 11. 5. 16:08
匈牙利针灸学会主席海吉:让我们成为中国通向西方世界的桥梁(이제 헝가리에서 중국의 중의집업의사 면허로 정식 의사활동을 할 수 있답니다.) 1988년 처음으로 중의사들이 헝가리(匈牙利)에 진출한 이후, 헝가리에서 이제 중국 중의집업의사(中医执业医师) 면허로 합법적으로 중의사(中医师)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몇년 전 있었던 호주정부의 중의학(中医学)에 대한 인정과는 그 의미가 많이 다르다. 헝가리 정부가 이렇게 중의학과 중의사에 대해 개방한 이유에는, 헝가리 국내사정이 많이 반영된 것 같다.헝가리 자국의 의사들이 돈을 많이 벌 수 있는 주변의 다른 나라들(서유럽국가들)이나 미주지역으로 많이 이주해가버리는 덕분(?)에 헝가리 국민들이 의료서비스를 받는데 많은 불편함이 생겼고, 이런 자국의 서양의료체계를 보조하거나..
-
[sanghui님의 문의] 티베티의 장의학 - 아유르베다 - 센의 관계는 어디가면 볼 수 있나요?访名录答辩 2014. 8. 17. 14:12
티벳의 장의학(藏医) - 아유르베다(āyur-veda, आयुर्वेद) - 센(Sen Line)의 관계 Luke는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합니다. 위의 세 분야에 대해서 Luke는 잘 모릅니다. (관심은 있습니다. ^^) 그리고 아마 위의 세 분야에 대해서 비교를 해놓은 내용이나 자료를 찾는 것도 쉽진 않을듯 합니다. 우선, 비교를 하려면, 비교하려는 대상들에 대해서 깊은 이해나 경험이 있어야하는데, 어느 나라의 전통의학(传统医学)이던, 전통의학이라는 학문이 워낙 광범위(广范围)한 지식(知识)과 경험(经验)을 요구하는 분야이다보니, 위에서 언급한 세 분야에 모두 정통한 사람을 찾는다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고, 또 있다고 하더라도, 그 분이 위의 주제로 비교하는 논문(论文)이나 문장(文章)을 쓰지 않을 지..
-
얼마나 많은 한의학도들이 실제로 동의보감 원문을 읽고 이해하려고 노력할까?短想 2013. 11. 22. 23:29
우연히 어떤 한의대생들이 쓴 글(어떤 내용인지는 언급하지 않겠다.)을 읽다가, '내가 한의학을 공부하기 위해서 중국행을 결정했고, 중의학을 공부한 것은 정말 잘한 선택이었다!'는 생각을 했다. 중국과 한국의 여러가지 정책적인 이유들로 현재로선 중의사로도 한의사로도 활동할 수 없지만, 안할 공부였다면 모를까, 결국 할 공부였다면, 중국에서 중의학을 공부한 것은 잘한 선택. 이제 중국에서의 생활이 만 7년이 다되어가고, 학업도 마쳐서 받을 학위 다 받았지만, 아직도 실력이 일천하여, 계속 중의학을 공부하고 있다. 공부법? 혹은 공부내용이 달라졌다면, 중의대에서 사용하는 교재를 위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고서( 현재로선, 의종금감에 심취해 있다. 의종금감을 읽다보면 곳곳에서 눈이 확~ 떠지는 경험들을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