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한론
-
중의대 본과 5년동안 배우는 것短想 2014. 9. 7. 17:22
Luke는 이 글에서 중의대(中医药大学) 본과(本科) 5년동안 배우는 과목들에 대해서 소개하려는 것이 아니다. (5년동안 배우는 과목들을 알고싶은 분들은 중국의 중의대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길.) 5년동안 배우는 내용들, 배워야할 내용들, 그래서 익숙해져야할(외워야할) 내용들을 소개하려는 것이다. 중국(中国)의 중의대본과는 예과가 아닌 본과이기 때문에 전공(专业)이 나눠진다. 전공도 학교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중의학(中医学. 광의(广义)의 중의학. 중의학의 모든 진단, 치료법, 등을 포괄하는 개념. 예전부터 전래되어오는 중의학)을 전공으로 크게 나눠보면, 중의학(협의(狭义)의 중의학, 침구, 추나, 등의 내용을 배제한 중의학), 중서의결합(中西医结合), 침구(针灸), 추나(推拿), 골상(骨伤), (강복康复,..
-
깝쭉대기는 ....生活 2014. 7. 19. 00:09
최근에 입사한 Luke의 직장동료 얘기다. 며칠 전, 업무관련해서 회의 필요해서 처음으로 그 동료와 회의를 했다. 짧은 내용이라 서로의 업무에 대해서 대략 얘기를 나누고 미팅을 마치려고 했는데 .... 이 동료, 뜬금없이, Luke가 중의학(中医学)을 전공했고, 박사학위(博士学位)가 있다는 것을 화제(话题)로 삼아 말을 이어간다. 근데 .... 결국, 그 동료가 하고자했던 말은 .... 자기도 중의학이 관심있어서 공부를 한다는 것. 본초강목(本草纲目)이랑 상한론(伤寒论) 같은 책들을 사다가 읽고있는데, Luke도 읽어봤냐는 것. 공부를 하다보니, 중의사(中医师)들이 처방을 잘 썼는지, 엉터리로 썼는지 알겠더라는 것. Luke도 처방(处方)을 잘 쓰냐는 질문. Luke도 침(针) 놓을 줄 아냐는 질문. 자..
-
의종금감(醫宗金鑑) 정리중.生活 2013. 10. 9. 02:12
몇년 전부터 의종금감(醫宗金鑑)에 관심을 가졌는데, 딱히 읽어볼 시간을 내지 못하고 있다가, 요즘 틈틈히 읽는중이다. 의종금감(醫宗金鑑)의 내용자체가 중의 전과(全科)의 임상을 망라했다고 할 수 있는데다, 아직 서의(西医)의 간섭을 받지않았던 청나라 초기에 만들어진 덕분에 순수한 중의(中医)적인 관점으로 책에 집중할 수 있어서 맘에 든다. 쬐금 아쉽다면, 중약학(中药学)에 해당되는 부분이 딱히 없다는 건데, 그정도야 다른 중약학관련 책들로 얼마든지 커버할 수 있는 내용이라. ( 어떤 사람들의 관점에선, 황제내경 소문과 영추, 중의기초이론, 진단, 등의 내용도 없다고 하는데, 중의학 교과서처럼 내용이 집중되어 편집된 것은 아니지만, 있어야하는 것들은 다 있다고 생각한다. 소문과 영추의 내용들이 직접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