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仙方活命饮이 “疮疡之圣药,外科之首方”이라며 ~~
    中医学 2017. 3. 22. 12:28


    중의학(中医学) 공부를 하다보면, 종종 어떤 부분에서 막힐 때가 있다.

    특히 임상증세(临床症状)에 관한 서술을 하는 부분에서 특이한 표현이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거참 ~ 이해하기 힘들다.


    Luke의 중국어 능력이 부족해서이기도하겠지만,

    임상경험(临床经验)이 부족해서 일 것이다.


    仙方活命饮을 보다가 '身热凛寒'이란 내용에서 막혔다.


    仙方活命饮《校注妇人良方》[xiān fāng huó mìng yǐn]

    【组成与用法】    白芷3克,贝母、防风、赤芍药、当归尾、甘草节、炒皂角刺、炙穿山甲、天花粉、乳香、没药各6克,金银花、陈皮各9克。用酒水各半或水煎服。

    【功效】            清热解毒,消肿溃坚,活血止痛。

    【主治】            痈疡肿毒初起,热毒壅聚,气滞血瘀。症见红肿焮痛,或身热凛寒,苔薄白或黄,脉数有力。

    【方歌】            仙方活命金银花,防芷归陈草芍加;

    贝母花粉兼乳没,穿山角刺酒煎佳;

    一切痈毒能溃散,溃后忌服用勿差。

    【备注】            阴证疮疡忌服本方;脾胃虚寒,气血不足患者须慎用;疮疡已溃亦不宜使用。


    위의 仙方活命饮의 【主治】(혹은 辨证要点)에 보면, '身热凛寒'이라는 표현이 나온다.

    분명한건, '身热凛寒'이, 단순히 '身热'는 아니고, 그렇다고 '寒热往来'도 아니고, '恶寒发热'도 아니라는 것. 만약 그랬다면, '身热凛寒'이라고 표현하진 않았을 터.


    仙方活命饮이 “疮疡之圣药,外科之首方”이라 많이 쓰이는 처방인데, '身热凛寒'에 관해 자세한 설명이 없는 것 같다.

    仙方活命饮의 출전인 《校注妇人良方》원문을 찾아봤는데, 그냥 달랑 仙方活命饮에 관한 조성(组成)만 나와있다.

    방제학(方剂学)을 배울 땐, 왜 저게 눈에 안들어왔을까?


    사전에서 '凛'을 찾아보면, 대략,

    凛(lǐn),

    ①寒冷:寒风凛冽。

    ②形容表示严肃。令人敬畏的样子:凛若冰霜,凛然正气,威风凛凛。 

    라고 되어있다.


    역시 잘모르겠다. 그런데, '凛'자에 대한 영어의미를 보니,

    英文翻译 to shiver with cold or fear

    란다.

    '凛'의 의미가 '추위나 공포로 부들부들 떨다'란다.


    그럼, '身热凛寒'란, 실제론 환자의 몸은 뜨거운데, 정작 환자는 춥다고 부들부들 떨고있다는 건가?

    그렇다면, '恶寒发热'와는 어떻게 다르다는 건지?


    몇몇 선생님들께 '身热凛寒'을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좋은 지에 대해 문의를 드렸다.

    '老师好,请教,仙方活命饮主治症状里的“身热凛寒”是什么样的状态,怎么理解?'


    임상경험이 많으신 모(某) 선생님께서, 이렇게 설명해주셨다.

    "中医认为正邪交争于表,正胜则热,邪胜则寒(卫气被遏制),而正邪交争是疾病的常态。仙方活命饮是治疗疮疡初起,正邪还相争于表,营卫郁滞,其疮疡红肿坚硬,故有身热凛寒的表现。实际上体温在上升,由于身体的温度高于环境的温度,所以可有凛寒的表现。"


    그래서, 다시 여쭸다.

    '可以理解为体表或局部热,整个身体的感觉冷吗?'

    "症状有自觉和他觉。应这样理解,身体是热的,扪之皮肤也热,体温测起来也高,但自觉怕冷。外感发热常是这种情况"


    다른 선생님도 위의 선생님과 비슷한 답변을 주셨다.

    그래서, 다시 여쭸다.

    '那,老师,“身热凛寒”和“发热恶寒”是否一样?'

    "表现类似。"

    '可以理解为“身热凛寒”是比“发热恶寒”更重的表现吗?'

    "要看痈疡的严重程度。"



    대략 이해는 되었는데 ....

    그으 ~~~~   아직도 뭔가가 부족한 느낌이란 ....



    중의학 공부가 쉽냐고요??

    쉬워보이세요??


    -------------------------------------------------

    北京 李博士的意见:

    "같은 생각입니다. 마치 발열오한(发热恶寒)과 같은 표현으로 이해합니다. 

    그러나 ('身热凛寒'이) 발열오한보다 표현의 정도가 더 중(重)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발열오한은 외감초기(外感初起)의 증상에 주로 사용되는 표현이라는 차이로 이해합니다."

    感谢李博士的高见。^^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