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구혈(禁灸穴)인데 뜸을 뜨라구요?中医学/针灸推拿 2018. 4. 20. 12:58
며칠전 한 중의대생(中医大生)이 물었다.
"저기요.... 침구학책에 금구혈(禁灸穴)이라고 되어있는 혈자리에 뜸을 떠도 되나요?"
중의침구학(中医针灸学) 책엔 확실히, 금침금구혈(禁针禁灸穴)이 설명되어 있다.
비단 요즘의 침구학책만 아니라, 침구관련 중의학(中医学) 고전서적에도 같은 내용들이 있다.
예를 들면,
《针灸大成》
禁针穴歌
脑户、顖会及神庭,玉枕、络却到承灵,颅息、角孙、承泣穴,神道、灵台、膻中明。水分、神阙、会阴上,横骨、气冲针莫行,箕门、承筋、手五里,三阳络穴到青灵。孕妇不宜针合谷,三阴交内亦通论,石门针灸应须忌,女子终身孕不成。外有云门并鸠尾,缺盆主客深晕生,肩井深时亦晕倒,急补三里人还平。刺中五脏胆皆死,冲阳血出投幽冥,海泉、颧髎乳头上,脊间中髓伛偻形。手鱼腹陷阴股内,膝膑筋会及肾经,腋股之下各三寸,目眶关节皆通评。
禁灸穴歌
哑门、风府、天柱擎,承光、临泣、头维平,丝竹、攒竹、睛明穴,素髎、禾髎、迎香程。颧髎、下关、人迎去,天牖、天府、到周荣,渊液、乳中、鸠尾下,腹哀臂后寻肩贞。阳池、中冲、少商穴,鱼际、经渠一顺行,地五、阳关、脊中主,隐白、漏谷通阴陵。条口、犊鼻上阴市,伏兔、髀关、申脉迎,委中、殷门、承扶上,白环、心俞同一经。灸而勿针针勿灸,针经为此尝叮咛,庸医针灸一齐用,徒施患者炮烙刑。
과 같은 내용들.
그런데, 침구과(针灸科)를 비롯해서, 중의각과(中医各科)들의 책이나 실제 임상(临床)에서 보면, 금침금구혈에 침도 놓고 뜸도 뜨는 경우들이 허다하다.
이런 부분을 어떻게 이해해야할까?
우선, 뜸 얘기를 먼저 하자면,
뜸이 꼭, 살을 태우는 직접구(直接灸, 烧焦灸, 焦烧灸)만 있는 것이 아니고, 격물구(隔物灸)와 같이 도구(道具)나 약재(药材)들을 사용해서 뜸을 피부(皮肤)에 직접 닿지 않게 하거나, 훈구(熏灸)처럼 뜸을 피부에서 일정 간격 떨어뜨려 뜨는 간접구(间接灸)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그래서, 금구혈(禁灸穴)을 이해할 때엔, 뜸을 뜨는 방법이나 기타 관련된 고려(考虑)가 필요하다고 본다.
아래는, 자궁근종(子宫肌瘤), 치질(痔疮), 중이염(中耳炎)등의 증세에 뜸을 뜰 수 있게 개발된 도구의 예(例)이다.
자궁근종(子宫肌瘤)관련 뜸의 경우, 대부분, 하복부(下腹部)나 천골(薦骨, 荐骨, 骶骨)부위에 뜸을 뜨는 경우가 많은데, 위의 도구는 질(阴道) 내부에 삽입(插入), 근종이 있는 부위에 뜸의 황연(黄烟)이 닿도록 고안된 도구이다.
물론, 자궁근종(子宫肌瘤)의 구체적인 위치를 파악하기위해서는, 부인과검사(妇科检查)나 초음파검사(超声波检查)가 필요하다.
치질(痔疮), 중이염(中耳炎)등도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이어서 금침혈(禁针穴)을 살펴본다면,
침의 경우, 고대(古代)의 침제작에 사용된 주재료는 철(铁)이었는데, 일반적으로 쇠독(铁毒)이 없는 마함철(馬銜鐵, 马衔铁 말의 입에 재갈로 물린 쇠. 여러 차례 산화 과정을 거친 쇠로, 침의 재료나 약으로 쓴다.)을 단조(鍛造)해서 침(针)으로 만들었다.
(사진: 마함철(馬銜鐵, 马衔铁))
단조법(鍛造法)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침(针)이란 것이, 길이나 굵기에서 한계가 있었다.
특히, 굵기의 측면에서 보자면, 침을 아주 가늘게 만드는 것이 어려웠다. 더군다나 재료가 철(铁)이라 사용중 부러지는 경우도 발생했기에, 위험한 부위나 중요한 부위에 자침(刺针)한다는 것은 항상 위험(危险)이 존재했달까. 당시의 의료환경으론 체내(体内)에서 부러진 침을 제거하는 수술을 하는 것이 쉽지않았을테니까.
공업기술과 합금술(合金术, 冶金术)이 발달하면서, 침을 만드는 재료와 방법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제는 침을 제작하는데 기본적으로 스텐레스 재료를 사용하고, 아주 가늘고 탄성이 좋은, 그래서 거의 부러지지 않는 침, 더군다나 일회용 침을 사용한다.
덕분에, 과거 금침혈(禁针穴)로 분류되었던 여러 혈자리들에 자침(刺针)이 가능해졌다.
나아가, 전기전자적인 기술을 사용한 침, 레이저를 사용한 침들이 개발되어서 스텐레스 재질의 침으로 자침이 불가한 혈자리들에도 필요한 경우 자침이 가능해졌달까.
덕분에, 중의임상각과(中医临床各科)에선, 과거(过去) 금침금구혈(禁针禁灸穴)로 분류되었던 혈자리들 중 많은 혈자리들에 침뜸치료가 가능해졌다.
중의침구학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금침금구혈(禁针禁灸穴)은 이런 시대적인 발전과 더불어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中医学 > 针灸推拿'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全身按摩减肥法 (0) 2018.09.21 风市(풍시)와 中渎(중독)혈의 정확한 위치가 .... (0) 2018.09.18 2018年 中医执业医师 笔试 针灸学-针灸治疗(含音频) (0) 2018.07.11 针灸的26种刺法 (0) 2018.06.20 관점의 차이:신경원성근위축증(神经源性损害)의 치료 (0) 2018.06.19 特殊功效腧穴 (2) 2018.04.18 2018年 中医执业医师 实践技能考试 80个穴位定位及主治 (0) 2018.03.08 2017年 中医实践技能 第二站 80个穴位定位及主治+音频 2 (0) 2017.06.01 2017年 中医实践技能 第二站 80个穴位定位及主治+音频 1 (0) 2017.06.01 인당혈(印堂)이 독맥(督脉)의 혈자리야? 경외기혈(经外奇穴) 이야? (2) 2017.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