伤寒论
-
治病的次序 - 伤寒六经谈中医学 2015. 6. 21. 14:58
治病的次序 —伤寒六经谈 邓杨春 青衿医学社 缘起: 前段时间阅读到一篇关于中医“玄冥反应”的文章,文章之中对治病过程中的一些可能出现的反应进行了学理地分析,解答了很多临床可能遇见的常见问题。但是文章中有一些观点有待商榷,笔者根据自己所学和所遇见的一些问题加以贯通,特别是张仲景撰写《伤寒论》中六经实质的思考“一以贯之”,想为中医一直以来的一些观念做一些“拨乱世反诸正”的辩驳,孟子说:“余岂好辩哉,不得已而已矣”,故而写这篇文章与前辈们商榷。 “玄冥反应”,是不是大病将愈的征兆? 一般人认为玄冥反应就是疾病即将痊愈的征兆,其依据就是《尚书》中的话“若药不瞑眩,厥疾弗瘳。”《说命》是商朝高宗梦中得贤人相关史实的记载,在于说明改恶从善有一个比较艰难的过程,就好比吃药会出现“眩晕”。其实玄冥反应是不是大病将愈的充分条件呢?或者说只是必要条件,或者说玄冥反应其实既不是充分条件,也不是必要条件?这..
-
중의대 본과 5년동안 배우는 것短想 2014. 9. 7. 17:22
Luke는 이 글에서 중의대(中医药大学) 본과(本科) 5년동안 배우는 과목들에 대해서 소개하려는 것이 아니다. (5년동안 배우는 과목들을 알고싶은 분들은 중국의 중의대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길.) 5년동안 배우는 내용들, 배워야할 내용들, 그래서 익숙해져야할(외워야할) 내용들을 소개하려는 것이다. 중국(中国)의 중의대본과는 예과가 아닌 본과이기 때문에 전공(专业)이 나눠진다. 전공도 학교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중의학(中医学. 광의(广义)의 중의학. 중의학의 모든 진단, 치료법, 등을 포괄하는 개념. 예전부터 전래되어오는 중의학)을 전공으로 크게 나눠보면, 중의학(협의(狭义)의 중의학, 침구, 추나, 등의 내용을 배제한 중의학), 중서의결합(中西医结合), 침구(针灸), 추나(推拿), 골상(骨伤), (강복康复,..
-
깝쭉대기는 ....生活 2014. 7. 19. 00:09
최근에 입사한 Luke의 직장동료 얘기다. 며칠 전, 업무관련해서 회의 필요해서 처음으로 그 동료와 회의를 했다. 짧은 내용이라 서로의 업무에 대해서 대략 얘기를 나누고 미팅을 마치려고 했는데 .... 이 동료, 뜬금없이, Luke가 중의학(中医学)을 전공했고, 박사학위(博士学位)가 있다는 것을 화제(话题)로 삼아 말을 이어간다. 근데 .... 결국, 그 동료가 하고자했던 말은 .... 자기도 중의학이 관심있어서 공부를 한다는 것. 본초강목(本草纲目)이랑 상한론(伤寒论) 같은 책들을 사다가 읽고있는데, Luke도 읽어봤냐는 것. 공부를 하다보니, 중의사(中医师)들이 처방을 잘 썼는지, 엉터리로 썼는지 알겠더라는 것. Luke도 처방(处方)을 잘 쓰냐는 질문. Luke도 침(针) 놓을 줄 아냐는 질문.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