处方
-
재활의학의국 의사들이 Luke의 환자??(康复科医生办公室里的医生们基本都是Luke的患者。)生活 2016. 7. 22. 12:24
Luke가 현재 실습중인 재활의학과에서 의사들간 얘기들을 나누다가 카이로프랙틱(Chiropratic, 整脊, 脊椎矫正)이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의사들의 얘기가 현재 중국에서 이 카이로프랙틱이, 마치 무슨, 신의 기술(很神奇的手法)처럼 관심을 끌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배우려고 한다는 것. '에.... 카이로프랙틱이 그렇게 대단한 신의 기술이었나??' 의국내 몇몇 의사들의 카이로프랙틱에 대한 생각, "너무 과장된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말로는 척추 한마디 한마디씩 교정한다는데 .... 정말 그게 가능한 지, 좀 뻥~ 이지 않나 싶다.""신경계통의 증세나 질환들을 맨손으로 고친다고 하는데, 말처럼 그게 가능할거라고 믿기가 어렵다." Luke가 알고있고 경험하고 있는 카이로프랙틱의 장점과 한계, 그 한계에..
-
小奶包가 죽었습니다.生活 2014. 11. 16. 23:20
지난 주일에 입양(领养)해온 강아지 小奶包가 수요일 아침에 죽었습니다. 강아지 한마리를 입양했다. 집에 도착한 첫날 부터 설사(泄泻)와 구토(呕吐)를 심하게 하길래, 녀석의 몸이 불편하다고 생각되어, 동물병원(宠物医院)에 데려가서 진료를 받아봤더니, 개홍역바이러스犬瘟热病毒(CDV), 파보장염犬细小病毒病(CPV), 각종 기생충(寄生虫)에 감염되어 있더군요. 동물병원 의사는 안락사(安乐死)를 권하던데, 와이프가 중의(中医)적인 방법으로 치료해보겠다고 다시 보듬어안고 집에 왔습니다. 그리고, 증세에 맞는 처방(处方)을 닳여서 먹였는데, 이 녀석 小奶包는 Luke와 와이프의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약을 안먹으려고 버텨서 한참 애먹었습니다. 먹어야할 약을 항문(肛门)으로 주입시켜줬더니, 설사(泄泻)와 함께 미처..
-
깝쭉대기는 ....生活 2014. 7. 19. 00:09
최근에 입사한 Luke의 직장동료 얘기다. 며칠 전, 업무관련해서 회의 필요해서 처음으로 그 동료와 회의를 했다. 짧은 내용이라 서로의 업무에 대해서 대략 얘기를 나누고 미팅을 마치려고 했는데 .... 이 동료, 뜬금없이, Luke가 중의학(中医学)을 전공했고, 박사학위(博士学位)가 있다는 것을 화제(话题)로 삼아 말을 이어간다. 근데 .... 결국, 그 동료가 하고자했던 말은 .... 자기도 중의학이 관심있어서 공부를 한다는 것. 본초강목(本草纲目)이랑 상한론(伤寒论) 같은 책들을 사다가 읽고있는데, Luke도 읽어봤냐는 것. 공부를 하다보니, 중의사(中医师)들이 처방을 잘 썼는지, 엉터리로 썼는지 알겠더라는 것. Luke도 처방(处方)을 잘 쓰냐는 질문. Luke도 침(针) 놓을 줄 아냐는 질문. 자..
-
지식백과에 수정요청한 내용이 수정되었단다.生活 2014. 6. 9. 21:42
풍치(風齒) - 구강 및 치과질환 지난 번에 Luke가 윗글 쓸 때에, 네이버(www.naver.com)에 풍치에 관한 검색을 해봤었는데, [한국전통지식포탈]에서 제공하는 풍치관련 내용이 쬐금(?)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 있어서, 수정관련 문의를 했었다. ( 아래의 캡처내용 중, '고객님께서 신고하신 수정문의 내용입니다.' 이하의 내용이 Luke가 수정요청한 내용) 수정 문의가 접수되었다는 통보메일은 받았는데, 그 후로 아무런 답변이 없어서, 그냥 무시되었나보다 하고 잊고있었던 내용인데, 오늘 수정문의 검토 결과 메일을 이렇게 받게 되었다. 처음 해보는 경험이라 .... 어리둥절 ~ 좀 신기하다. 네이버에 수정해 달라고 하니, 수정을 해준다. ( 물론, 수정을 해야하는 부분을 언급했고, 어떻게 수정되어야 ..
-
풍치(風齒) - 구강 및 치과질환短想 2014. 4. 27. 02:12
제병원후론(诸病源候论) 권이십구(卷二十九)의 아치병제후(牙齿病诸候(凡二十一论))에 보면, 치아(齒牙)와 관련된 질환의 원인을 중의(中医)적인 관점에서 비교적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그런데, 수양명경(手阳明经)의 지맥(支脉)이 치아로 들어간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한 부분들이 있는데, 족양명경(足阳明经)의 지맥(支脉)이 치아로 들어간다고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은 없다. 그냥 뭉뚱그려서 양명경(阳明经)이라고 표현하는 곳은 찾아볼 수 있다. 그리고, 풍(风邪)에 관한 언급은 있는데, 양명경(阳明经)의 열(热邪) 혹은 습열(湿热)이 원인이 된다고 언급한 부분은 없다. (중의학 기초이론에 보면, 열(热邪)이 많아지면 풍(风邪)이 생긴다고 설명하고 있다.) 갑자기 뜬금없이 Luke가 왠 풍치 얘기인가 .... 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