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진단학
-
吐弄舌(토농설, 토롱설)中医学/其他 2018. 5. 25. 17:17
吐弄舌,病状名。吐舌:指舌体伸长弛缓,出口外而不收。弄舌:指舌体微出口外,立即收回口内,或舌舐唇上下及口角左右。多见于小儿,属心脾热盛重症。 吐弄舌见于热性病多属心脾实热;若舌色紫赤而吐弄,是热毒内攻心包的重证。小儿先天不足,大脑发育不全也可出现吐弄舌,但舌色淡白,多呈虚象。 토농설(토롱설)토설(吐舌)과 농설(弄舌)을 한데 아울러서 일컬음.병적으로 혀를 입 밖으로 내밀고 있는 것을 토설(吐舌)이라 하고, 혀끝을 입 밖으로 자주 내밀었다 안으로 넣었다 하거나 아래위, 좌우로 놀리는 것을 농설(弄舌)이라고 한다. 토농설(토롱설)은 심비(心脾)에 열사(熱邪)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데, 주로 온열병(溫熱病)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선천(先天)적으로 허약(虚弱)한 어린아이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데 이때 혀 빛깔은 희끄무레하다. 토농설(..
-
사비맥(斜飞脉)과 반관맥(反关脉)中医学 2018. 2. 10. 21:46
사비맥(斜飞脉)과 반관맥(反关脉)의 맥진부위(脉诊部位)에 관한 질문에 답변하느라 찍은 사진이 있어서, 겸사겸사 글로 정리해 본다. 중의진단학(中医诊断学) 맥진(脉诊)에 보면, 사비맥(斜飞脉)과 반관맥(反关脉)에 대해서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若脉不见于寸口,( 만약 맥이 촌구(寸口)부위에 없고, )而从尺部斜向手背,名叫斜飞脉。( 촌구의 촌관척부위중 척맥의 부위를 제외한 다른 맥진부위가 손등쪽으로 비스듬히 나가있는 경우, 사비맥(斜飞脉)이라고 한다. )若脉出现在寸口的背侧,名叫反关脉。( 만약 맥이 촌구맥의 반대편에서 뛴다면, 반관맥(反关脉)이라고 한다. ) 처음 맥진을 학습하는 학생들에겐, 임상에서 무척이나 드물게 경험하게 되는 이 사비맥(斜飞脉)과 반관맥(反关脉)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울 수도 있을..
-
맥(脉)을 공부할 때, 고려해볼 수 있는 학습방법이랄까....中医学 2018. 2. 8. 14:14
중의학(中医学)적으로 환자를 진료하려면, 망문문절(望闻问切) 사진(四诊)을 잘 활용할 수 있어야하는데, 사진(四诊)중 망문문(望闻问)에 해당하는 부분의 학습은, 환자를 꼼꼼히 살펴보고, 진료(诊疗)에 필요한 질문과 답변들을 나누는 대화의 과정에서 비교적 쉽게 익히거나 체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절진(切诊)에 포함되는 맥진(脉诊)의 경우,중의진단학(中医诊断学)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배우는, 28맥상(二十八脉)이나 부침지삭허실(浮沉迟数虚实)의 여섯가지 대표맥상(六大脉象), 10괴맥(十怪脉)등의 이론적인 내용이야,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면 알 수 있고 구분할 수 있다고하지만,임상에서 환자를 맥진한 후 환자의 맥이 어떤 맥인지를 판단하는 건 말처럼 쉽질 않다. 임상경험(临床经验)이 많은 중의사선생님들께,..
-
아무리 봐도 닮았단 말야 ....生活 2014. 7. 15. 21:47
Luke는 요즘 중의집업의사고시(中医执业医师考试)를 준비중이다. 그래서, 날마다 퇴근 후 집에서, 주말에도 시험공부를 하고 있다. 얼마전에 인터넷으로 구한, 중의진단학(中医诊断学) 동영상 강좌(视频)를 보다가 문득, '이 강사, .... 정말 닮았네.... ' '아무리 봐도 닮았네. 생김새, 표정, 말투, 몸동작까지, 보면 볼수록 닮았네 .... ' 그래서, 그 당사자에게 중의진단학 강의하고있는 사람이 자기가 맞는지, WeChat(微信)메시지를 보내서 물어봤다. 그랬더니, 자기가 맞단다. '앗 ~ 이런 일이 .... ㅋㅋㅋㅋㅋ' 동영상에서 중의진단학을 강의하고 있는 강사가 Luke의 박사과정 두학번 후배(后辈)였던 것. 이 후배의 경우는, 박사과정을 하기 전, 몇년동안 중의학(中医学)과 중약학(中药学)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