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에서 중의학(中医学)을 전공한 후 중의사(中医师)가 되려는 분들은 참고(주의)하세요.中医学 2016. 5. 10. 22:55
지금 현재 중국의 중의대에서 본과과정을 진행하고 계시는 분들이나, 이제 중의대 유학(留学)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알아두셔야 피해를 보지 않을 내용이라 정리해 봅니다.
1. 2015년 1월 1일 이후로 중의대에 입학하시는 분들의 경우, 반드시 본과로 입학하셔야 합니다. 중의대 본과학력이 없는 경우, 중국에서 진행하는 중의집업의사고시(中医执业医师考试)에 응시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본과를 졸업하셔야만 중의집업의사고시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2. 최근 몇 년 지속적으로 중국중앙정부의 의학관련 각종 정책들이 계속 변하고 있고 앞으로도 계속 많은 변화들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라, 많은 중의대 유학생들이 갈팡질팡하고 있습니다. 특히, 집업의사고시 응시를 위해, 병원실습(医院实习)을 1년만 하면 되는지, 2년을 해야하는 지에 대한 부분(4+2+2 <-- 이 내용은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따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규범화배훈(规范化培训) 등, 정책관련 원문 내용을 읽어봐도 도대체 뭐라는 건지, 그리고, 유학생인 우리들에게는 어떻게 적용되는 건 지 알기어려운 내용들로 가득합니다.
3. 2015년 이후, 중국학생들이 중의학을 전공하는 경우, 규범화배훈이란 과정때문에, 최소한 석사과정까지 마쳐야하거나, 석사과정을 마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할애해야만 중의사(中医师)로 활동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4. 2016년 현재까진, 규범화배훈은 중국학생들에게만 해당되지만, 중국의 몇몇 지역들의 경우, 홍콩, 마카오, 대만학생들(港澳台学生)에게까지 오픈되었다는군요. 아마 시간이 좀더 지나면 외국유학생들에게도 오픈될거라 생각됩니다.
5. 위의 2에서 4까지의 내용을 일일이 설명하려면 상당히 많은 시간과 지면을 할애해서 설명해야하고, 현재 중의대본과과정에서 공부중인 유학생이나 중의대유학을 준비하는 분들에겐 뭔 말이 뭔 말인지 머리만 아픈 얘기일거란 생각에,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언급은 생략하겠습니다.
6. 그럼, Luke가 이 글에서 무슨 얘기를 하려고 하고, 얘기의 중점이 도대체 뭐냐?
우선, 중국에서 중의집업의사고시를 응시하지 않을 분들은 이 글을 그냥 패스하시면 되겠습니다.
7. 핵심부터 말씀드리면, 중의대 본과를 졸업한 학교에서 병원실습하고 중의집업의사시험을 보라는 것입니다.8. 본과졸업 후, 석사과정을 다른 중의대에서 하고싶어 지역을 이동하려고 하는 분들이 계실텐데, 본과를 졸업한 학교와 석사과정을 진행할 학교가 다른 경우, 여러가지 불편한 일들이 발생합니다. 아마 시간적으로 금전적으로 손실 혹은 더 많은 투자(?)를 하시게 될 겁니다.9. 예를 들어 설명해드리겠습니다.2016년에 항주(杭州)의 절강중의약대학(浙江中医药大学) 본과를 졸업하고, 같은 해인 2016년에 상해중의약대학(上海中医药大学)에 석사(硕士)로 입학해서, 내년 2017년에 집업의사고시를 보려고 계획중이라면, 상해에서는 시험응시를 할 수가 없습니다.중국정부의 외국인유학생 귀속지(归属地)정책 때문에 항주에서 시험을 봐야 합니다.( 만약, 꼭 상해에서 집업의사고시를 응시하겠다고 하면, 석사과정 3년을 마치고 졸업하는 해인, 2019년에 상해에서 시험응시를 할 수 있습니다. 상해에서 졸업했기 때문에 상해에서 응시가 가능합니다. 물론, 2019년에는 항주와 상해 두 곳에서 집업의사고시 응시가 가능합니다. 두 곳에서 졸업했기 때문이죠. )이런 경우, 상해중의약대학에 석사입학을 했기때문에, 석사학비를 지불했을 겁니다.하지만, 시험응시지역이 항주라, 항주에 있는 학교부속 삼갑의원(学校附属三甲医院)에서 병원실습을 한 증명이 필요한데, 이 말은 절강중의약대학에 1년간 병원실습을 위한 진수(进修)를 해야한다는 거죠. 진수비용이 무료일 리가 없습니다.더군다나 병원실습관련 관리가 엄격해져서 진수비용만 내고 실습증명을 발급받는 것이 어렵습니다.10. 만약, 항주의 절강중의약대학에서 본과를 졸업하고, 항주에서 중의사면허를 취득한 후, 다른 학교로 석사과정입학을 하는 경우엔 별 문제가 없습니다.11. 위의 2에서도 언급했습니다만, 중국정부의 의학관련 정책들이 계속 바뀌고 있기 때문에, 중의사가 되려고 하시는 분들은, 가능하면 빨리 면허를 취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을 자꾸 끌면 본인에게 그만큼 불리하게 됩니다.12. 2016년에 절강중의약대학을 졸업하고, 절강중의약대학에 석사입학을 했다면, 1년 석사학비내에 병원실습비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집업의사고시에 응시하기위해 별도로 병원실습비용을 낼 필요가 없고, 2017년에 항주에서 고시에 응시하면 됩니다.( Luke가 들어서 알고있기로는, 광주중의약대학(广州中医药大学)의 경우, 광주중의약대학에서 본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으로 석사입학해도, 의사고시에 지원하려면 석사학비와 별도로 1년 병원실습비용을 내야한다더군요.이런 구체적인 내용은 각 학교별 차이가 있어서, 해당학교에 문의해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13. 위의 내용들을 한번 더 정리해보면,현재 이미 중의대 본과에 재학중이고, 석사과정을 진행할 계획이라면, 학교를 바꾸지 마시라는 겁니다.중의대 유학을 고려하시는 분들이라면, 위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될 수 있으니, 본과입학할 중의약대학을 신중히 선택하시라고 당부드립니다.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中医学' 카테고리의 다른 글
拔罐疗法及提示 (0) 2016.11.10 임신기간동안 생기는 발부종에 도움이 되는 추나(부제:처음 찍어본 추나UCC동영상) (0) 2016.09.13 왼쪽, 오른쪽을 어떻게 구분하라는거여 ~~ (2) 2016.09.06 얼굴에 갑자기 습진과 여드름이 막 나는데 왜 이런거죠?? (0) 2016.09.05 날씨가 무지 덥다보니 낙침(落枕)환자들이 많아졌다. (0) 2016.08.26 기침을 진정시키는 약(镇咳药) - 惠菲宁 (0) 2016.08.11 大姨妈走后多久能同房?(생리를 마치고 며칠 후부터 사랑을 나누는 것이 좋을까?) (0) 2015.11.06 와이프 생리기간에 절대로 절대로! (千万别在老婆月经期吵架,除非你想害了她!) (0) 2015.07.12 治病的次序 - 伤寒六经谈 (0) 2015.06.21 여러측면에서 살펴보는 중의학(한의학)에서 말하는 "음식금기" (多角度了解中医“忌口”) (0) 2015.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