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의학 학습관련, 학습내용의 기억 혹은 암기에 관해 생각해볼 부분들.中医学/其他 2018. 9. 7. 21:10
중국의 각지역 중의대에서, 다양한 학습배경과 연령대의 유학생들이 중의학 공부를 하고계십니다.
다양한 학습배경이라고 언급한 부분을 좀 더 설명하자면,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갓 졸업하고 중의대유학을 하는 분들도 계시고,
한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다양한 전공분야의 대학 혹은 연구생과정을 마치고, 혹은 어떤 분야에 종사하시다가, 중국에 와서 중의학 공부를 하는 분들도 계시죠.
물론, 중국에서 중국학생들과 함께, 혹은 국제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과정을 마친 후, 이어 중의대에서 중의학공부를 하는 조기유학생(?)들도 있습니다.
다양한 학습배경이라 표현한 것은 이런 의미로 이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다보니, 유학생들의 연령대도 다양합니다.
또한 이런 이유들로, 유학생들의 실질적인 중국어능력과 전공관련 이해도(理解度)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중의대에서 중의학을 처음 접하고 공부하는 분들의 경우,
스물살에 가까운 나이이거나 이미 스물을 넘긴 분들이 대부분이라,
중의학 학습은 성인학습의 개념을 바탕으로 진행된다고 해야할 겁니다.
성인학습은, 아동들의 학습과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
반드시는 아닙니다만, 아동들의 학습은, 학습 내용이 이해가 되지않은 경우에도 기억 혹은 암기가 가능하지만,
성인의 학습방법은 학습한 내용에 대해 이성적인 이해가 바탕이 되지 않으면 그 내용을 기억하거나 암기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습니다.
중의대 본과 4,5학년이 되어도, 혹은, 중의학 연구생과정을 진행중인데도, 전공서적을 읽는 것이 부담스럽거나, 읽혀지지 않고, 학습효율이 그닥 높지않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겁니다.
이 부분은, 본과 1,2,3학년과정에서 진행되는 수업들, 특히, 중의기초이론, 중의진단학, 중약학, 방제학 + 침구학, 중의내과학의 이해와 암기(기억)가 잘 되지 않았기에 발생된 문제라고 생각됩니다.
만약, 중의대에 유학중인 자신이 이런 상황이라면, 우선적으로 시간을 투자해서 중의기초이론, 중의진단학, 중약학, 방제학 + 침구학, 중의내과학을 공부하시라고 권해드립니다.
학교에서 실제 관련 강의를 다시 청강하는 것도 좋겠고, 각 중의대별 해당 과목의 강의를 잘하는 교수님들의 동영상강좌를 구해서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스스로 생각키에, 자신이 위에 언급한 4과목 혹은 6과목에 대한 이해도가 낮다고 생각된다면, 그 과목들의 교재를 읽는 것보단, 먼저 그 과목들의 동영상강좌를 보시길 권합니다.
전공 교재를 술술 읽어 나갈수 있는 분이라면, 직접 교재를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동영상강좌를 보시라고 권하는 이유는, 책은 자신이 읽어야 읽는거지만, 동영상강좌는 강좌의 속도만 따라가면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강좌에는 어려운 부분 혹은 이해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 강의를 진행하는 교수님들께서 설명을 덧붙여 이해를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교재를 읽어가는 시간과 노력 대비,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해당 과목의 전체적인 내용 파악도 가능합니다. 또한, 동영상강좌를 끈기있게 다 봤다면, 공부를 하고있다, 혹은 공부를 했다는, 나름의 성취감도 느낄 수 있기 때문이죠.
성인학습이든 아동학습이든, 학습과정에서 느끼는 성취감은 더 쉽게 학습을 계속할 수 있게 해주고, 학습에 더 집중할 수 있게 해줍니다.
( 어떤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성인이 학습하기 어려운 이유는 학습에서 오는 성취감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일 겁니다. )
관련 과목 동영상은 주변 학생들(同学们)이나, 중국 인터넷, 혹은, 淘宝网등을 통해서 쉽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공부하겠다는 마음만 있다면, 조금만 관심을 가져도 쉽게 구하실 수 있습니다.
물론, 동영상강좌를 듣고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중국어실력은 필수입니다.
그렇게 몇번 반복해서 과목의 동영상강좌들을 보았다면, 이젠 관련 과목의 책을 읽어야 합니다.
동영상강좌를 보면서 학습하는 것과 비교해서, 관련 과목의 책을 읽으며 학습하는 것은 학습과 이해의 품질을 향상하는 측면에서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동일한 사람이 집필한 책을 읽는 것과 그 사람의 강의를 듣는 것을 비교해보면, 강의중에 못다한 설명들을 책에서 문자(文字)적으로 만나게 되고, 더 넓고 깊은 이해를 하는데 많은 도움을 줍니다.
이 글은, 중의학을 공부하기위해, 전공관련 책을 읽어야 한다는 말을 하고 있는 겁니다. 그런데, 책을 읽는 것이 쉽지않다고 느끼는 분들을 위해 상대적으로 쉽게 그 과목에 접근하는 방법을 설명드리는 겁니다.
동영상강좌를 반복해서 여러번 본 후에도 그 과목의 책을 읽는 것이 부담스럽게 느껴진다면, 오디오 북(Audio Book)처럼 책의 내용을 소리로 들으면서 읽을 수 있는 책들을 구입해서 들으면서 읽으시길 권해드립니다.
중의학 전공서적들 중에, 이런 책들이 있냐구요?
중국亚马逊이나 当当网에서 <用耳朵学中医系列丛书>를 검색해보시면, 황제내경, 상한론, 금궤요략같은 책들을 비롯해서, 중의기초이론, 중의진단학, 중약학, 방제학, 경락수혈학의 내용을 낭독한 녹음MP3를 제공해주는 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또 喜马拉雅FM사이트를 검색해보시면, 张挺莫교수님의 临床中药学讲稿, 邓中甲교수님의 方剂学讲稿, 王棉之교수님의 方剂学讲稿등, 喜马拉雅FM사이트의 회원 개인들이 책의 내용을 낭독녹음한 것들을 찾아서 들을 수 있습니다.
물론, 낭독해주는 속도보다 책 읽는 속도가 빠른 분들은 낭독이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겠습니다만, 책 읽는 속도가 느린 분들은 낭독속도로 책을 읽을 수 있으니 책을 읽는 것이 상대적으로 많이 수월해집니다.
그 밖에도 많은 중의학관련 책들을 낭독녹음한 녹음들을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이렇게 중의학 기초과목들의 내용을, 이해를 바탕으로, 책을 들으면서 읽는 습관이 생기면, 상대적으로 쉽게 전공관련 내용들을 기억(암기)하게 되고, 그 기억(암기)들이 많아지고, 쌓이면, 전공관련 다른 서적들을 읽는데 훨씬 수월해집니다.
그리고, 이쯤 되면, 중요한 혹은 필요한 내용을 요약정리할 수 있게되죠.
이미 시중에 요약정리가 잘 된 책들이 많기 때문에, 꼭 자신이 손수 요약정리를 할 필요는 없겠습니다만,
위에서 설명드린 것처럼, 이해가 바탕이 되지 않으면, 아무리 요약정리가 잘된 내용을 보더라도 암기(기억)하는 것이 쉽지않습니다. Luke의 설명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각자 경험해보시면 압니다.
중의학을 잘 혹은 깊이있게 공부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넘어야하는 관문은 관련 내용들의 암기입니다.
그리고,
암기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지속적인 반복 암기 뿐입니다.
그것이 임상이든, 기말고사나 집업의사시험이든, 필요한 지식들의 암기가 되어있어야 수월해집니다.
달리 말해서, 임상에서 환자를 보거나, 전공관련 시험을 치르는데, 뭘 해야할지, 어떻게 해야할지, 무엇이 정답인지 모르겠다면, 필요한 지식들의 암기가 부족하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대부분의 유학생들이 스무살을 넘은 성인들이기에, 상대적으로 쉽게, 혹은, 오랜동안 기억(암기)이 되게 하기위해선 기억할 내용의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한다는 것입니다.
자기만의 학습법, 암기법이 없는 분들이라면, 위에 권해드린 방법을 실천해보시길 권합니다.
하루에 일정시간 이상을 매일같이, 상대적으로 긴시간을 투자해서 학습을 해야하기 때문에 힘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부를, 이해를, 기억을 하지않으면, 결국 자기가 얻거나, 자기에게 남는 것은 적거나 없게 됩니다.
이 부분은 누가 대신해줄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니, 계속 중의학공부를 하시겠다는 마음이신 분들은 독하게 마음먹고 공부하시라 권해드립니다.
10년 전보단, 5년 전이, 5년 전보단, 지금이 중의학 공부를 하기에 더 편리해졌습니다. 그 때엔 존재하지 않았거나, 구할 수 없었던 시청각학습 자료들을 지금은 상대적으로 훨씬 쉽게 구할 수 있으니까요.
관건은, 자기가 공부를 하느냐 안하느냐인거죠.
'中医学 >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医问诊单 (0) 2018.11.05 2019년 中医执业医师考试 新大纲에 추가될 가능성이 높은 4대경전(四大经典)관련 설명. (7) 2018.10.26 중의집업의사고시(中医执业医师考试)를 준비하는 분들이 종종하게되는 몇가지 오해(错觉). (1) 2018.10.22 올해(2018년) 中医执医考试 2차 필기시험을 준비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6) 2018.10.21 바이두 백과에 风市(풍시)와 中渎(중독)혈 위치 수정을 요청했다. (申请百度百科里‘风市穴’与‘中渎穴’的定位更正而更正完毕。) (0) 2018.09.21 国务院关于同意设立“中国医师节”的批复 (0) 2018.07.30 好消息:取消高等教育学历认证收费 (0) 2018.07.05 实践技能考试 第一站 方剂组成万能加减法 (0) 2018.06.05 实践技能考试的要点及注意点 (0) 2018.06.05 2018年 中医执业医师考试 实践技能 第一站 病证方剂歌诀+音频 (0) 2018.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