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여러측면에서 살펴보는 중의학(한의학)에서 말하는 "음식금기" (多角度了解中医“忌口”)
    中医学 2015. 6. 7. 20:56

    多角度了解中医“忌口”
    여러측면에서 살펴보는 중의학(한의학)에서 말하는 "음식금기"


    导读:忌口是中医一大特色,很多患者在拿到医生的处方纸后都会询问是否需要忌口。然而医生因为医疗习惯和知识储备不同,对患者的回答也不尽相同,有特别重视忌口的,也有轻描淡写觉得饮食一切正常,只要不过于辛辣厚味即可。亲爱的读者们,您觉得应该如何看待忌口问题呢?

    안내: 음식금기(忌口)는 중의학의 큰 특색이다. 많은 환자들이 중의사의 처방전을 받을 때, 물어보게 되는 것이, 어떤 것은 먹어도 되고, 어떤 것은 먹으면 안되는지와 관련된 음식금기이다. 그런데, 중의사들의 의료습관, 지식, 경험, 등 여러가지 원인과 차이로 환자에게 알려주는 음식금기가 다르기도 하다. 중의사마다 음식금기를 특별히 중요시 여기기도 하고, 심하게 맵거나 짜거나 특정 맛이 강한 음식들을 피하라고 간단히 설명하기도 한다.
    중약이나 한약을 복용하시는 여러분들은 이 음식금기(忌口)를 어떻게 이해하고 실천하시겠습니까?

    --------------------------------------------------------------------------------


    亦论中医忌口
    중의학에서 말하는 음식금기(忌口)


    “忌口”也称禁口、食忌、食禁等,是指在中医临床中注意饮食禁忌,以避免影响治疗效果。
    음식금기(忌口)는, 忌口, 禁口, 食忌, 食禁,등의 단어를 사용해서 표현되기도 하는데, 어떤 단어를 사용해서 표현하던, 중의임상치료(中医临床治疗)과정에서, 일상적으로 먹거나 마시는 음식(饮食)에 대해 주의(注意)해야함을 의미하고, 더 나아가, 치료에 영향을 주는 음식을 피하도록 하는데 있다.


    “忌口”是在“药食同源”的基础上孕育发展而来,有广义和狭义之分。
    음식금기(忌口)는 약식동원(药食同源)의 기초에서 발전하였다고 할 수 있고,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로 구분하기도 한다.


    狭义的忌口是指病人患病时在饮食方面的禁忌,又称病中忌口。
    좁은 의미의 음식금기(忌口)는, 환자가 병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주의해야하는 음식관련 금기(禁忌)나, 병환중일 때의 음식관련 금기(禁忌)를 의미한다.


    广义的忌口除病中忌口外,还包括因年龄、体质、地区和季节的不同而忌服或少服某些食品,也包括为避免某些病情复发而忌服某些“发物”等。
    넓은 의미의 음식금기(忌口)는, 위에서 언급한 좁은 의미의 음식금기(忌口)와 더불어, 나이, 체질, 지역, 기후, 계절을 고려하여 먹지 말아야하거나, 적게 먹어야하는 음식, 혹은, 알러지를 포함해서, 어떤 증세를 유발시키거나 재발시키는 원인이 되는 음식을 피하는 것을 의미한다.


    忌口的一般原则
    음식금기(忌口)의 일반 원칙


    统观古今文献,“忌口”并非随心所欲,而是遵循一定的原则,一是“辨证论忌”,二是遵循五行的生克规律忌口。
    고금의 많은 문헌들을 살펴보면, 음식금기(忌口)는 반드시 일정한 원칙을 준수하고 있다.
    첫째, 변증론기(辨证论忌), 즉, 증세를 살피고, 고려해서 음식금기(忌口)를 결정한다.
    둘째, 오행생극관계(五行生克规律)를 준수하여 음식금기(忌口)를 결정한다.


    中医辨证论忌:依据《内经》“热者寒之,寒者热之”,“阳病治阴,阴病治阳,虚则补之,实则泻之”的理论,参照病机属性与饮食的寒热补泻功能进行对证施用。如寒病忌生冷、热病忌辛辣、阴病忌阴柔滋腻、阳病忌温热辛燥、虚证忌克消攻伐、实证忌补益固涩等等。
    중의학에서 말하는 변증론기(辨证论忌)의 근거는 내경(内经)의 "열자한지, 한자열지(热者寒之,寒者热之)", "양병치음, 음병치양, 허즉보지, 실즉사지(阳病治阴,阴病治阳,虚则补之,实则泻之)"이론을 따르고, 병기(病机)의 속성(属性)과 음식의 한열보사(寒热补泻)효과를 참조해서 증세에 맞춰 음식금기(忌口)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한병(寒病)의 경우, 생것, 날것, 몸을 냉(冷)하게 하는 음식을 피하고, 열병(热病)의 경우, 매워서 열이나게하는(辛辣) 음식을 피한다. 음병(阴病)의 경우, 음의 성질(阴柔滋腻)을 띄는 음식, 끈적하고 느끼한 음식을 피하고, 양병(阳病)의 경우, 몸을 덥히거나 열이나게 하는, 건조하게 하는 음식을 피한다. 허증(虚证)의 경우, 성질이 강하거나 독해서 몸을 공격하고 손상시키는 음식을 피하고, 실증(实证)의 경우, 기혈(气血)을 보(补益)하고 순환이나 배출을 방해하는(固涩) 음식을 피한다. 등등.


    按五行生克规律论忌:《灵枢·五味论》:“肝病禁辛、心病忌咸、脾病忌酸、肺病忌苦、肾病忌甘苦”的原则,结合病情与食物的属性而忌口。如表所示。
    오행생극관계(五行生克规律)에 따른 음식금기(忌口)는 영추(灵枢·五味论)에서 설명하는 "간병에는 매운 것을 금하고(肝病禁辛), 심병에는 짠 것을 금하고(心病忌咸), 비병에는 신 것을 금하고(脾病忌酸), 폐병에는 쓴 것을 금하고(肺病忌苦), 신병에는 단 것과 쓴 것을 금한다(肾病忌甘苦)"라는 원칙을 따른다. 병의 증세와 정도(病情)를 고려하고, 오행의 속성을 고려해서 음식금기(忌口)를 결정한다.


    “忌口”食物分类

    음식금기(忌口)의 식물분류(食物分类)


    中医历来认为“药食同源”,指出食物与药草一样,皆有“寒、凉、温、热、平”五性,“辛、甘、酸、苦、咸”五味,并按食物的性味、功能,将须忌口的食物分为6类。
    오랜 역사를 가진 중의학은 약식동원(药食同源), 즉, 음식(食物)과 약초의 기원이 같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모두 각각, "한,량,온,열,평(寒、凉、温、热、平)"의 다섯가지 성질(五性)과 "신(맵고),감(달고),산(시큼하고),고(쓴),함(짠)(辛、甘、酸、苦、咸)"의 다섯가지 맛(五味)이 있다.
    이것을 기준으로 음식(食物)의 성미(性味), 작용(功能)을 고려해, 음식금기(忌口)를 여섯종류로 구분한다.


    辛辣类:包括辣椒、胡椒、生姜、大蒜、韭类、花椒、青葱、芥末、酒类等。
    매운 종류: 고추, 후추, 생강, 마늘, 부추, 산초, 대파, 겨자, 술, 등.

     

    生冷类:包括西瓜、梨子、柿子、菠萝、香蕉等生冷水果;萝卜、白菜、苦瓜、竹笋、蚕豆等寒凉蔬菜;冰棒、冰淇淋、冷藏饮料或果品等冷冻食品。
    날것, 찬 음식: 수박, 배, 감, 파인애플, 바나나, 등의 과일. 무우, 배추, 여주(고과,苦瓜), 죽순, 누에콩(蚕豆), 등의 야채. 쭈쭈바, 아이스크림, 혹은, 얼린 과일, 등의 냉동식품. 등.


    发物类:包括鹅肉、牛肉、猪头肉、公鸡肉、狗肉、虾、蟹、竹笋、芥菜、木薯、南瓜、韭菜等。
    쉽게 알러지를 유발시키거나, 치료된 병을 재발시킬 가능성이 있는 음식: 거위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개고기, 새우, 게, 죽순, 갓(겨자), 카사바(木薯), 호박, 부추, 등.


    海腥类:包括虾、蟹、螺、贝类、带鱼、海鳗、乌贼、鱿鱼等水产品。
    비린 음식: 새우, 게, 소라, 조개류, 갈치, 장어, 오징어, 등의 수산품.


    油腻类:包括猪油、猪肉、牛肉、羊肉、动物内脏和油炸、烧烤食品。
    기름진 음식: 돼지기름, 돼지고기, 소고기, 양고기, 동물내장, 기름에 튀긴것, 굽거나 훈재한 고기류, 등.


    其他类:咸品,如食盐、酱油、豆酱、腌咸菜、腌咸萝卜、腌咸鸭蛋等;甜品,如白糖、红糖、各种糖果、糕饼、甜食,以及含糖多的荔枝、龙眼、甘蔗等水果。
    기타종류: 짠 것, 예를 들면, 소금, 간장, 된장, 소금에 저린 야채나 고기, 등. 단 것, 예를 들면, 설탕, 흑설탕, 각종 사탕, 케익, 디저트 류, 당분이 높은 과일, 등.

     


    因病制宜行“忌口”
    질병에 따른 음식금기(忌口)


    临床上患者在治疗期间,既要服用药物,又要饮食调理促进病愈,为此,采取切实合理的辨证施食、辨证论忌显得实为重要。
    병환중인 환자가 조금이라도 더 빨리 치료되고, 회복되기 위해서, 약물(药物)을 복용하면서, 동시에 음식으로 몸조리를 해야한다. 그러기위해서, 합리적인 변증을 통해 먹어야할 음식과 먹지말아야할 음식을 구분하는 것은 중요하다.


    关于疾病“忌口”,张仲景的《伤寒杂病论》中已有较为详细的论述,他在太阳中风证服用桂枝汤后强调要“禁生冷、黏滑、肉面、五辛、酒酪、臭恶等物”,提出了“食复”这一概念,即热病后可因饮食不当而导致疾病复发。同时,《金匮要略》中设置了“禽兽鱼虫禁忌并治”和“果实菜谷禁忌并治”两个篇章,明确指出:“所食之味,有与病相宜,有与身为害,若得宜则益体,害则成疾,以此致危”,强调了病中“忌口”的重要性。
    질병에 따른 음식금기(忌口)는, 장중경(张仲景)의 상한잡병론(伤寒杂病论)중에 비교적 자세히 논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태양중풍증(太阳中风证)에 복용하는 계지탕(桂枝汤) 설명에 "날 것, 찬 것, 끈적이거나 미끄러운 것, 고기, 밀가루, 다섯가지 매운 것, 술, 발효되거나 썪어서 냄새나는 것, 등(禁生冷、黏滑、肉面、五辛、酒酪、臭恶等物)을 금(禁)한다"고 강조하고 있고, 열병이 회복되고 난 뒤, 음식을 주의 하지 않아(饮食不当) 열병이 다시 발생하는 "식복(食复)"이라는 개념도 설명하고 있다. 또한 금궤요략(金匮要略)에서는, "날짐승, 길짐승, 물고기, 벌레와 관련된 금기와 치료(禽兽鱼虫禁忌并治)"와 "과일,열매, 채소, 곡물과 관련된 금기와 치료(果实菜谷禁忌并治)"라는 두 편의 문장에서, 모든 음식의 맛은 병에 적합한 것도 있고, 몸에 해를 입히는 것도 있기에, 몸에 이롭기도 하고, 질병을 만들어 목숨을 위태롭게 하기도 한다.(所食之味,有与病相宜,有与身为害,若得宜则益体,害则成疾,以此致危)"고 설명하고, 병환중의 음식금기(忌口)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因人制宜讲“忌口”
    사람에 따른 음식금기(忌口)


    体质偏实者
    체질이 실한 사람


    体质偏实的健康者,饮食注意全面合理即可,但兼夹有痰湿瘀的人,不宜再补充过度的营养,尤其要减少脂肪的摄入,可以多吃含有丰富膳食纤维的食物,并注意补充维生素和微量元素,同时加强锻炼,避免发展成代谢性疾病。
    체질이 튼실하고 건강한 사람의 경우, 음식을 합리적이고 적당히 먹으면 된다. 그러나, "담,습,어(痰湿瘀)"가 있는 사람이라면, 영양과다는 바람직 하지 않다. 특히, 지방(脂肪) 섭취를 줄이고, 식이섬유가 많은 음식들을 넉넉히 섭취하는 것이 좋고, 비타민과 미네럴의 균형적인 섭취에 주의하며, 꾸준히 운동하여, 대사(代谢)장애로 발생하는 대사성질병(代谢性疾病)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体质偏虚者
    체질이 약한 사람


    从体质来看,虚证之人总体来说宜补,但应根据体质决定补益的性质。如阳虚者,以补气温阳,散寒健脾为主,忌服寒凉、生冷食物,不宣过食凉性的瓜果菜肴;阴虚者,宜滋补养阴,生津清热,忌食温燥伤阴的食物,如葱、姜、蒜、辣椒等辛辣刺激食物。但虚证者不可补益过度,尤其不能多吃肥腻、油煎、干硬等难以消化的食物,而要在补中有疏,以清淡和富于营养为宜。
    체질적인 측면에서, 허증(虚证)이 잘 발생하는 사람은, 전체적인 측면에선 보(补)해야한다. 그러나, 체질에 따라 무엇을 어떻게 보(补益)할지 결정해야한다. 양허(阳虚)인 경우, 보기온양(补气温阳 기를 보하고 양을 덥힘), 산한건비(散寒健脾 한기를 흩고, 비장을 건강케 함)이 필요하고, 날 것, 차가운 성질의 식물(食物)들을 먹지 말고, 차가운 성직의 야채나 과일들을 적게 먹는다. 음허(阴虚)인 경우, 자보양음(滋补养阴 몸 안의 혈액, 등 음의 성질을 갖는 물질들을 기름), 생진청열(生津清热 진액을 만들고 열을 내림)을 해야하고, 온조상음(温燥伤阴 몸 안의 음의 성질을 갖는 물질들을 마르게하고 상하게 함)하는 식물(食物)들을 피해야한다. 예를 들어, 대파, 생강, 마늘, 고추등의 자극성이 강한 매운 음식들을 피한다. 허증(虚证)이라도 과도하게 보(补益)하는 것은 좋지않다. 특히, 기름진 음식, 기름에 굽거나 튀긴 음식, 마르고 딱딱해서 소화를 방해하는 음식, 등을 피하고, 보(补益)하는 중에 소화와 소통이 되게하고, 깔끔하고 담백한, 영양이 풍부한 음식들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小儿及老人
    어린 아이와 노인


    从年龄特点来看,小儿时期“脾常不足”,所吃的食物应与其消化功能适应,注意摄入优质蛋白质以及维生素、矿物质。而老人脏腑衰退、化源不足,应以温热熟软的食物为主,节制脂肪和糖类,多吃纤维素、清淡素食和乳食,忌黏硬生冷的食物。
    나이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특징으로, 소아의 경우, 비장이 아직 성숙하지 못하고(脾常不足), 소화기관들이 먹은 음식을 소화하는데 있어 적응할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하다. 그래서, 품질 좋은 단백질과 비타민, 미네럴위주의 섭취가 중요하다. 노인들의 경우, 장부(脏腑 소화와 저장을 담당하는 모든 내장기관)의 노화와 쇄퇴로 인해, 영양분의 흡수와 저장이 어렵다. 그래서, 따뜻하고 잘 익은, 부드러워 소화와 흡수가 잘 되는 식물(食物)의 섭취가 중요하다. 지방과 당분의 섭취를 절제해야하고, 섬유질이 많고, 담백한 음식, 유제품들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를 방해하는 기름진 음식, 딱딱한 음식, 날 것, 찬 음식들을 피한다.

     


    妇女
    여성


    妇女孕期期间,应注意营养均衡,食物品种多样化,适食多餐。勿嗜过咸、过甜食物,忌烟酒、辛辣、油腻、刺激等食物,减少食物对胃肠道刺激。在哺乳期,除补气养血之外,还应多补充矿物质、微量元素,保证母乳中的营养。妇女经期,如果身体平时健康,只要饮食规律即可,但要慎食冷物,以免血管过度收缩引起痛经。而平时身体虚弱者,应注意服用一些补气养血的温性食品,如大枣、红糖、鸡蛋、龙眼等,对于寒凉食物与辛热食物皆应忌服。
    여성의 경우, 특히, 임신기간중 영양균형에 주의를 해야한다. 음식을 골고루 먹어야겠고, 적당량(적은양)을 먹고, 자주 먹는 것이 바람직하다. 많이 짜거나 단 음식들을 피하고, 술, 담배, 맵고, 기름지고, 자극성이 강한 음식들을 피해 음식이 소화기관에 주는 자극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수유기(哺乳期)에는 보기양혈(补气养血 기혈을 보함)과 더불어 광물질과 미네럴을 섭취하여, 모유(母乳)의 영양을 유지해야 한다. 생리기(经期)에는, 건강한 여성의 경우, 적절한 음식섭취만으로 충분하고, 찬 음식을 반드시 피해서 혈관의 과도수축으로 인한 생리통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겠고, 평소 신체허약자의 경우, 보기양혈(补气养血)을 돕는 음식들, 예를 들어, 대추, 흑설탕, 계란, 용안(龙眼), 등을 먹는 것이 좋고, 차거나 매운 식물들(寒凉食物与辛热食物)은 모두 피하는 것이 좋다.

     


    因时因地讲“忌口”
    시기와 지역에 따른 음식금기(忌口)


    季节的变换,会给人体带来不同程度的影响。中医“天人合一”理论提示我们应根据人体对外界气候的反应,适时调整饮食。
    계절의 변화는, 인체에 여러 가지, 그리고, 다양한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 인체(人体)가 자연계의 기후에 반응하는 것을 근거하여 중의학의 천인합일(天人合一)이론이 제시되었고, 시기와 지역에 맞춰 먹는 음식을 조정해야 한다.


    春季:春季多湿,人体阳气处于升发之时,肝胆气旺,脾胃的消化功能相对较弱,饮食上应当减酸宜甘,培养脾气,适宜多吃清淡菜蔬和豆类,不宜油腻辛辣,以免内生火热。
    : 봄엔 다습하다, 인체의 양기(阳气)가 승발(升发)되는 시기이며, 간(肝)과 담(胆)의 기운이 왕성해지는 시기이다. 비위(脾胃)의 소화기능은 상대적으로 약해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음식섭취에서 신(酸) 맛을 줄이고, 단(甘) 맛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장(脾)의 기운이 잘 자라도록 해야하는 시기이고, 맑고 담백한 야채나 콩류를 많이 섭취하고, 기름지고 느끼한, 매운 음식들을 피하여 몸 안에 열(火热)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夏季:夏季热邪挟湿,使得脾胃受困,消化功能减退,饮食应以甘寒、清淡为主,避免油腻,特别是不要贪食生冷瓜果。
    여름: 여름엔 열사(热邪)와 습(湿)이 많아, 비위(脾胃)가 쉽게 피곤하게 되어 소화기능이 많이 떨어진다. 그래서, 달고 시원한, 맑고 담백한 음식을 주로 섭취하고, 기름진 음식을 피한다. 특히, 차가운 기운의 과일과 열메들을 많이 먹지 말아야한다.


    秋季:燥气当令,燥易伤肺,因此易发咳嗽,应当滋阴润肺,多食梨、芝麻、蜂蜜、甘蔗及乳制品等柔润食物,少食辛辣,不宜过食辛温大补之品。
    가을: 가을은 건조해서, 폐(肺)가 쉽게 손상될 수 있다. 건조하기 때문에, 자음윤폐(滋阴润肺 음을 보충하고 폐를 촉촉히 함)하여 쉽게 발생되는 기침을 예방한다. 배, 참깨, 꿀, 사탕수수와 유제품 등의 촉촉함을 유지시켜주는 음식들을 많이 섭취하고, 매운 음식들은 적게 먹는 것이 좋다. 맵거나 크게 보(补)하는 음식이나 약재들을 많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冬季:万物封藏,寒邪正盛,可多吃羊肉等温热性食物,勿食冷食,冬季对体虚、年老之人是进补的好时机。
    겨울: 만물이 거두어들여지는 시기, 한사(寒邪) 가장 번성하는 시기인 겨울은, 양고기 같은 온열성(温热性) 음식들을 많이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찬 음식은 먹지 않는다. 겨울은 몸이 허(虚)한 사람이나 노인들이 몸을 보(进补)하기 좋은 시기다.

     

    东西南北:地域因素也对人体有着重要影响。《黄帝内经素问·异法方宜论》曾指出,不同地域的人由于环境与饮食习惯不同,可能会诱发相关的疾病,比如东方之人,“食鱼而嗜咸”,多发痈疡;西方之域,水土刚强,其民“华食而脂肥”,易发内风;北方之域,天寒冰冽,民多乳食,多“脏寒生满病”;南方之人,“嗜酸而食腐”,而地域多湿,易发挛痹。虽然当时的情况已与现在有所差异,但是也提示我们可以在饮食上就当地所缺乏的物质以及多发的疾病做相应的补充和调整,减少疾病易发的因素。
    동서남북: 지역적인 요인도 인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황제내경 소문(黄帝内经素问·异法方宜论)에, 서로 다른 지역의 사람들은 환경과 음식습관이 다르기 때문에, 그로 인한 질병이 유발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동쪽에 사는 사람들의 경우, 물고기를 자주 먹고, 짠 맛을 즐기기 때문에, "종기와 부스럼(痈疡)"이 많이 발생하고, 서쪽은, 물과 흙이 강하고(刚强), 사람들이 다양한 음식을 즐겼고(华食) 비만해서, 중풍이 자주 발생하고(易发内风), 북쪽 지역은 특별히 추운 지역이고 유제품을 즐겨 먹어, "장이 차서(脏寒) 배가 그득하게 부어오르는(脏寒生满病)" 경우가 많고, 남쪽의 사람들은, 신(酸) 맛을 좋아해서 삭힌 음식을 즐겨 먹고(嗜酸而食腐), 다습해서 "경련과 마비(挛痹)"가 자주 발생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황제내경 소문에 기록된 상황이 현재의 상황과 차이는 있지만, 특정 지역의 결핍된 영양성분, 물질과 빈번히 발생되는 질병에 상응하는 음식을 보충하고 조절해서 질병의 원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