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지? 이 어지럼증은? (부제: 风为百病之长이라니깐.)中医学/其他 2018. 3. 2. 11:55
열흘남짓 원인모를 어지럼증에 시달린 Luke.
덕분에 긴~ 춘절 연휴를 어지러워하면서 보냈다.
춘절 연휴가 시작되기 한 주 전,
자고 일어나 침대에 앉는데, 갑자기 머리가 핑~~~
'어? 뭐지? 왜 이렇게 어지럽지?'
'경추성 현운(颈椎性眩晕)인건가?'
머리를 이쪽저쪽 돌려보고 경추가동성검사(颈椎可动性检查) 및 어깨등의 관절가동성검사를 해봤는데, 별 이상이 없었다.
잠깐 어지럽다 말길래, 우연인가 보다 했다.
그.런.데.
낮엔 멀쩡했던 머리가 밤에 자려고 눕는데, 또 핑~~~
다음날 자고 일어나는데, 또 핑~~~
낮엔 멀쩡하다가 밤에 침대에 누으니, 또 핑~~~
'갑자기 왜 머리가 어지럽지? 원인이 뭐야?'
침대에 누워서 한참을 생각해봐도 무슨 원인인지 알수가 없었다.
그렇게 침대에 눕고 일어날 때에 어지럽던 증세가 쬐금씩 쬐금씩 가중되더니, 이젠 낮에도 윙윙~ 도는 느낌이 들기 시작.
'요즘, 스트레스를 좀 많이 받긴했는데.... 肝阳上亢인건가? 근데.... 阴虚증세가 .... 그닥 없는데 ....'
'혹시.... Luke 고혈압??'
고혈압성 두통이나 어지럼증을 겪어본 일이 없는 Luke라 겪고있는 어지럼증이 고혈압에 의한 어지럼증인지 판단하기 어려웠다. 그러고, 어지럼증세로 봐선 고혈압성 어지럼은 아닌거 같은데.....
중국명품(中国驰名)鱼跃수은혈압계와 鱼跃청진기( 이 쓸데없는 자세함은 모지? )를 꺼내서 혈압을 측정했는데, Luke의 연령대비 고혈압이라고할 순 없는 정도의 혈압이라 ....
'肾虚髓海不足인거야????? 나이가 나이인지라 肾虚가 있긴하지만, 그렇다고 髓海不足까진 아니잖오?!! 치아가 흔들리는 것도 아니고,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는 것도 아니고 .... '
와이프에게 Luke의 脉을 좀 확인해달라고 했더니, (Luke의 와이프도 중의학도임.)
脉象이 表虚里实란다. 里热이 있다고.
Luke가 어려서부터 체질적으로 卫气虚弱,肺卫不顾인데다 몸에 늘 湿热이 어느정도는 있는지라,
玉屏风散+葛根芩连汤을 가감해서 며칠 먹었더니, 어지럼증세가 많이 개선되었다.
특히, 침대에 눕거나 침대에서 일어날 때 발생하는 심한 어지럼증은 없어졌다.
근데 ....
낮시간동안에 가볍게 어질어질하는 증세는 여전히 남아있어서....
'세반고리관 평형감각 이상인가?'라는 생각이 들어서,
빙글빙글 몇바퀴 돌아봤다. 그닥.... 별 문제 없는듯.
'耳鸣이 있는 것도 아니고 .... 뭐냐? 이 기분나쁜 어지럼증은??'
그러다 문득,
玉屏风散+葛根芩连汤을 가감한 처방이 효과가 있는 것이 생각났다.
'뭐여? 지금 Luke 몸에 风邪가 들어와 있는거여? 근데, 감기증세는 없는데 .... 그리고, 이 风邪가 어디서 들어왔디야??'
포커스 风邪에 맞춰지자, 그제서야 생각나는 것이 있었다.
화장실에 설치한 목욕할 때 켜는 난방기.
중국 남방(南方)의 가정집은 한국처럼 보일러 난방이 아니다.
그래서 겨울에 화장실에서 목욕하려면, 난방대책을 강구해야하는데,
보통은 浴霸라고 하는 등(灯)을 달아, 그걸로 화장실 난방을 한다. 이 浴霸라는 녀석이, 켜놓으면 얼마나 뜨거운지, Luke의 팔 피부에 발진이 생겨 가렵게 만들어서, 실내장식을 할 때, 와이프가 Luke를 위해 특별히 浴霸대신, 뜨거운 바람이 나오는 열풍기(风暖浴霸)를 설치해줬다.
즉, Luke가 목욕을 할 때, Luke 머리 위에선 뜨거운 바람이 열라~~~ 나온다.
뜨거운 물로 목욕을 하기에, Luke의 腠理(주리)는 목욕중 당근 완전개방되어 있는 상태일텐데, 腠理완전개방상태에서 열라~~~ 뜨거운 바람을 매일 머리에 맞았다는 것.
어려서부터 체질적으로 卫气虚弱,肺卫不顾인 Luke인지라, 몸이 겨울 내내 매일 계속된 이 열풍의 风邪를 이기지 못했던듯.
열풍으로 인한 风邪가 몸에 들어온지라, 风寒邪가 몸에 들어왔을 때의 감기증세가 없었던 것. 겨울이니, 뜨거운 바람 열라 맞았다고해서, 风热로 인한 감기는 잘 안걸릴 것이고.
어쩐지, 최근에 가끔 이유없이 맑은 콧물이 주륵~ 흐르더라니.
요 며칠, 목욕 전, 열풍기를 켜고, 목욕을 시작할 때, 열풍기를 끄고 목욕을 했더니, 낮시간 동안의 기분나쁜 어지럼 증세가 많이 개선되었다.
며칠 더 살펴보고, 风邪가 완전히 없어지지 않으면, 玉屏风散+葛根芩连汤을 가감한 처방을 며칠 더 먹어서 风邪를 몸 밖으로 축출시켜야겠다.
중의기초이론이나 중의진단학에서 风邪가 몸에 들어오면 머리를 친다는 설명이 있는데, 이번에 아주 제대로 경험한달까 ....
근데, 똑같은 화장실에서 목욕을 하는 Luke의 와이프는 Luke와 비슷한 증세가 없길래, 물어봤더니,
열풍기를 목욕전에 켜서 화장실 난방을 하고 목욕할 땐 항상 끄고 한댄다.
"腠理개방된 상태로 바람 계속 맞으면 风邪가 몸에 들어갈거라서 항상 끄고 하는데."
그니까.... Luke의 와이프가 Luke보다 중의학적으로 잘 산달까 .... OTL
-----------------------
2018년 3월 11일 갱신.
어지럼증과 관련된 내용들을 찾아보다가,
양성자세현운(阳性姿势眩晕, 内耳眩晕症, 내이(内耳)의 반고리관(半规管)에 발생한 이동성 결석(移动性结实)으로 인하여 유발(诱发)되는 어지럼증(眩晕))이란 증세를 알게되었는데, Luke가 겪은 어지럼증이 양성자세현운과 매우 비슷한 것 같다.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고, 노화에 의해서도 발생된다고 하는데, Luke에게 발생된 이 현운을 중의학적으로 风邪에 의한 것으로 보고 치료하는 것을 서양의사들이 본다면, 그닥 믿지않으려고 할듯.
독자들이 오해하지 않아야하는 것은, Luke의 경우 风邪가 원인이라는 것이지, 모든 양성자세현운을 风邪에의한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중의학에서 眩晕의 원인은 적어도
肝阳上亢,
气血亏虚,
肾精不足,
痰湿中阻,
瘀血阻窍,
등 다섯가지 혹은 그 이상으로 분류하고 있고, 증세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르다.
참고로 아래에 양성자세현운(阳性姿势眩晕, 内耳眩晕症)에 관한 서양의학 정보를 덧붙여본다.
양성자세현훈[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정의
양성 자세 현훈은 특정 체위에서만 나타나는 안진(nystagmus, 안구가 가만히 있어도 떨려서 초점을 유지할 수가 없는 증상)이 특징인 질환으로, 1921년 바라니(Barany)가 처음 기술하였다. 아직까지 병리와 생리 기전이 완전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내이의 반고리관에 있는 팽대정(cupula)이나 내림프액(endolymph)에 퇴행성의 조직 파편이 발생하여 이 이동성 결석으로 인해 몸의 자세에 따라 심한 현기증을 유발하게 되는 질환을 말한다. 이는 임상에서 가장 흔한 어지럼증 중 하나로, 수 초에서 1분 미만의 지속 시간을 가지는 짧은 회전성 어지럼증이 일정한 자세의 변화에 의해 반복적으로 유발된다.
원인
양성 자세 현훈의 원인은 알 수 없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두부 외상, 전정 신경염, 메니에르병, 귀 수술, 비이과적 수술(non-otologic surgery) 등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연령별 분포에 따른 원인을 살펴보면,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는 60대가 가장 많으며, 감염은 40~50대, 외상은 20~60대에 고르게 분포한다. 양성 자세 현훈은 주로 50세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나이가 들면서 내이의 허혈로 인해 이석이 불완전하게 형성되기 쉽고 이석 기관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유동성 석회화 물질이 쉽게 생길 수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 가능하다.
한편, 양성 자세 현훈을 마루 결석(cupulolithiasis)과 반고리관 결석(canalithiasis)으로 분류하여 발생 원인을 살펴볼 수 있는데, 마루 결석은 내이의 반고리관에 있는 타원 주머니반이 퇴행되면서 생성된 평형모래가 반고리관의 마루(cupula)에 붙어 있을 때 나타나는 어지럼증이고, 반고리관 결석은 반고리관 내에서 형성된 결석이 머리 위치의 변화 및 반고리관 내의 림프액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면서 림프액의 흐름을 유도하여 발생하는 어지럼증이다. 이들 모두 정상적으로 평형모래가 붙어 있는 타원 주머니반의 노인성 퇴행성 변화와 관련있다고 알려져 있다.
증상
양성 자세 현훈은 결석이 발생한 반고리관의 위치에 따라 뒤반고리관 양성 자세 현훈, 앞반고리관 양성 자세 현훈, 그리고 외측반고리관 양성 자세 현훈으로 분류한다. 앞 및 외측(lateral) 반고리관에서 발생하는 양성 자세 현훈은 드문 편이다. 뒤반고리관 양성 자세 현훈은 체위성 현훈 중 가장 흔한 형태이다. 병적 증상이 나타난 귀 쪽이 바닥에 닿도록 환자를 눕히면 중력의 영향으로 결석이 이동하면서 반고리관 내에 있는 림프액의 흐름을 유도하고, 이 흐름으로 인하여 환자는 어지럼증을 느끼게 된다. 앞 및 외측 반고리관 역시 해당 반고리관이 흥분하는 방향으로 머리를 움직일 때 어지럼증을 느낀다.
주로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 갑자기 회전감이 있는 현기증(whirling type vertigo)과 평형 장애를 발작적으로 경험하며, 특히 베개를 베거나 목을 구부렸다 위를 쳐다보는 행동을 할 때 순간적으로 현기증이 발생한다. 이 때 자율신경계의 자극 증상인 오심, 구토, 두통, 가슴 두근거림, 식은땀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거의 모든 환자가 어지럼증과 함께 구역과 구토를 느끼지만, 회전감 있는 현기증은 1분 이내로 짧게 지속되며, 대개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곧 증상이 사라진다. 머리의 위치를 바꾸는 행동을 하지 않는다면 일상 생활에는 지장이 없다.
양성 현훈이 발생하는 남녀의 성비는 1:1.6~2 정도로, 여자에게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단
진단에 가장 중요한 것은 특징적인 병력과 이학적 검사이다. 병력상 심한 회전감 있는 현기증이 갑자기 발생한 적이 있고, 머리 움직임에 따라 증상이 더 심해지면 강하게 의심할 수 있다. 이학적 검사상 두위 변환 안진(positioning nystagmus)이 발생하면 거의 확진한다.
검사
딕스-홀파이크(Dix-Hallpike) 검사를 통해 확진이 가능한데, 병적 증상이 발생한 쪽에서 홀파이크 자세(머리를 침대 밑으로 떨어뜨린 자세)로 머리 위치를 유지하면 반고리관 내에 있는 석회 부유물(calcific material)이 중력 방향으로 떨어지면서 반고리관 내에 반 팽대부성(ampulofugal) 내 림프 흐름이 발생하여 안진(nytagmus, 안구가 가만히 있어도 떨려서 초점을 유지할 수가 없는 증상)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심한 현기증이 유발된다.
이석증에서 나타나는 안진은 잠복기가 수 초 있으며, 반복하여 자세를 취하면 같은 양상의 안진이 나타나는 반복성, 그리고 여러 번 반복할 때 점차 안진의 반응이 줄어드는 피로 현상(fatigability) 등의 특징이 있다.
치료
양성 자세 현훈은 반고리관 내부에서 결석이 이동하는 것이 주된 원인이므로 부유물을 원위치로 되돌리는 물리치료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변형 에플리(Epley) 방법이며, 이 방법의 기본 원리는 머리의 위치를 변화시켜 반고리관의 관 내를 따라 석회 부유물을 반고리관의 공통각(common crus)으로 이동시켜 전정(vestibule)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법의 효과는 70~90%로 보고되고 있으며, 만약 한 번으로 반응이 없으면 몇 차례 반복하여 시행한다.
경과/합병증
대개 심한 급성 증상이 나타난 이후에는 증상이 좋아지며 장기적인 후유증을 남기지 않는다. 에플리(Epley, 부유물을 원위치로 되돌리는 물리치료) 방법으로 치료를 하면 대부분 증상이 모두 호전되지만, 10% 정도의 환자에서 재발하는 경우도 있다.
예방방법
특별히 예방할 만한 방법은 없지만, 이석증으로 인해 심한 현기증을 경험했던 환자이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이석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갑자기 머리 위치를 변화시키거나 자세를 갑자기 바꾸거나 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또한 두부 외상(head trauma) 이후에 이석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머리를 심하게 다치지 않도록 평소에 주의해야 한다.
생활 가이드
병원에서 치료받은 후에는 상체를 약 45도 정도 높인 자세로 하루 정도 쉬는 것이 바람직하다.
'中医学 >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年 中医执业医师实践技能考试汇总 第一站 +组成 (0) 2018.05.22 화산석 스톤테라피~~(火山石石疗, Stone Theraphy) (0) 2018.05.12 소변은 부르르~~~ 대변은 안부르르~~~ (0) 2018.05.05 시력저하(视力低下)를 개선(改善)하는 몇가지 방법들 (0) 2018.04.11 삼령백출산과 유산균(参苓白术散与乳酸菌) (0) 2018.04.06 阿胶糕(아교갱, 아교강정)가 阿胶(아교)를 먹는 효과가 있을까? (3) 2018.02.21 外籍人员参加中国医师资格考试实习申请审核表(WS102) 문건 작성시 주의사항. (0) 2018.01.16 24절기가 음력이라고?(二十四节气怎么是阴历啊?) (부제: 개해를 앞둔 새해 첫날부터 개무시당함.) (0) 2018.01.01 全国第四轮学科评估结果,其中,中医、中西医、中药专业的评估结果。 (0) 2017.12.28 淘宝启动“阿里医院”。타오바오에서 원격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0) 2017.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