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변은 부르르~~~ 대변은 안부르르~~~中医学/其他 2018. 5. 5. 15:41
남자들은 서서 소변(小便)을 본다.
그리고, 소변을 보는 과정에서 꼭 한두 차례 몸을 부르르~~~~ 떤다.
몸을 떠는 이유는, 소변을 보는 과정에서 체온(体温)을 유지(维持)하는데 필요한 열(热)을 배출하게되고, 짧은 시간동안 근육들을 격렬하게 움직여(생리적으로 발생되는 근육경련) 그 배출된(손실된) 열을 보충한다.
그런데, 대변을 보는 과정에선 가끔 몸을 부르르~~~ 떠는 현상이 발생한다. 소변을 볼 때처럼 항상 몸을 떠는 것은 아니라는 것.
중의학에서,
몸에 병리(病理)적인 열(热)이 발생될 경우, 그 열을 배출하는 몇가지 방법(경로, 途径)들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열배출 방법에, 땀을 통해 열을 배출하는 한법(汗法, 일반적으로 表热 혹은 半表半里热을 배출), 대변, 소변(大小便, 二便)을 통해 열을 배출하는 하법(下法, 일반적으로 里热을 배출)이 있다.
특히, 대변(大便)은 소변보다 더 효과적인 열배출 수단이다.
그래서, 하법(下法)에 관한 설명이나 강의를 하는 중의대교수님들은 소변으로 배출되는 병리적인 열에 관해서 그닥 언급을 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교수님들이 대변을 통해 배출되는 열에 관한 설명을 하신다.
남자들은 소변을 보면서 체온유지를 위해 항상 몸을 떤다고 했는데,
소변보다 더 많은 열을 배출하는 대변을 보는 동안엔 왜 몸을 항상 떠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걸까?
1. 배설(排泄)을 하는 자세(姿势)와의 관련성.
소변은 서서 배설하지만, 대변은 앉아서 배설한다. 몸을 웅크린다는 말이다. 그래서 소변배설시의 자세보단 열보존을 하기가 쉽다.
2. 배설시의 근육운동량과의 관련성.
소변 배설시 과도한 근육긴장은 오히려 배설을 방해한다. 소변배설에 관여하는 근육들의 가볍고 적당한 긴장(운동)이 소변배설을 촉진한다.
반면, 대변배설에는 많은 근육들이 참여한다. 더군다나 '힘'을 줘야 한다. 힘을 준다는 얘기는 근육들이 운동을 한다는 얘기이고, 열이 발생한다는 말이다. 이 때에 발생되는 열이 손실되는 열을 보충하기에 대변배설시엔 체온유지를 위해 몸을 떠는 빈도가 아주 적게 나타난다.
알아두어도 그닥 쓸데없는 글, 끝.
(正儿八经胡说八道系列之一。)
'中医学 > 其他' 카테고리의 다른 글
谁这么把脉啊?(누가 맥을 이렇게 짚어?) (0) 2018.06.01 석곡~ 석곡~ 석석곡~ 석곡~~~ (石斛) (0) 2018.05.29 吐弄舌(토농설, 토롱설) (0) 2018.05.25 2018年 中医执业医师实践技能考试汇总 第一站 +组成 (0) 2018.05.22 화산석 스톤테라피~~(火山石石疗, Stone Theraphy) (0) 2018.05.12 시력저하(视力低下)를 개선(改善)하는 몇가지 방법들 (0) 2018.04.11 삼령백출산과 유산균(参苓白术散与乳酸菌) (0) 2018.04.06 모지? 이 어지럼증은? (부제: 风为百病之长이라니깐.) (0) 2018.03.02 阿胶糕(아교갱, 아교강정)가 阿胶(아교)를 먹는 효과가 있을까? (3) 2018.02.21 外籍人员参加中国医师资格考试实习申请审核表(WS102) 문건 작성시 주의사항. (0) 2018.01.16